옛 동요를 재미있게, 기발하게 해석한 것이기에...
?이런 동요가 있다?
"아버지는 나귀 타고 장에 가시고~"
어머니는 건너마을 아저씨 댁에".......
왜 갔을까 ?
우리는 어린 시절 이 동요를 부르면서 아버지가 물건 팔러 (장사하러) 가신 줄 알았다. 대다수의 우리는 국민학교 시절에 당연히 그런 줄 알았다.
그런데 아니다.
아버지는 장사하러 가신게 아니다. 바람피러 가신 것이다.
장사하러 가시려면 나귀를 끌고 가야한다. 나귀 등에 짐을 얹고 아버지는 나귀를 끌고 가야한다.
그런데 아버지는 나귀를 타고 가신 것이다. 즉 ‘한량’ 이었던 것이다.
그 당시 장은 3일장, 5일장, 7일장 등이 있었으며 장이 열리는 날에 기생집들이 대목인 것이다.
나귀 타고서는 주막에 가질 않는다. 주막은 서민들이 이용하는 대폿집이었으니 말이다.
돈 좀 있고 할 일은 없고 노는 것 좋아하는 사람들을 그 당시 ‘한량’ 이라고 했고 그런 사람들은 장날을 틈 타서 숨겨 논 애인을 만나러 장에 다녔던 것이다.
더군다나 그 아버지는 짐을 운반하는 노새가 아닌 그 당시로서는 적잖이 비싼 나귀(에쿠스급?)를 타고 다닐 정도의 부유층 계급의 한량이었던 것이다.
"어머니는 건너 마을 아저씨 댁에~"
어머니가 맞바람을 피운 것이다.
아버지가 장에 가신 틈을 타서 건너 마을 아저씨하고 바람을 피우는 것이다.
이모댁도 아니고 고모댁도 아니다.
큰 엄마댁도 아니고 삼촌댁도 아니다.
바로 어머니의 숨겨놓은 애인인 아저씨 댁인 것이다.
아버지는 장에서 어머니는 아저씨 댁에서 바람을 피웠다는 증거는 유추할 필요도 없이 후렴구에 정확하게 나와 있다.
"고추먹고 맴엥멤~
달래먹고 멤엠멤~
고추먹고 맴엠멤~
달래먹고 멤엠멤~"
아이는 두 번이나 강조해서 분명하게 전달한다.
어머니 아버지가 없을 때 웬만큼 잘사는 집안의 아이가 쓸데없이 매운 고추와 향긋하기는 하지만 약간 씁쓸한 달래를 먹으면서 매엠맴 하면서 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당시 하우스 재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봄에 나오는 달래와 여름에 따먹는 고추를 어린 아이가 동시에 날것으로 먹기는 불가능 한 것이다. 고추와 동그란 달래의 상징적 의미를 그 어린 아이도 알았던 것이다.
즉, 고추와 달래를 먹은 사람은 아버지 와 어머니이며 "멤엠멤~" 은 "응응응~" 과 같이 남녀 관계 시 흘러나오는 교태어(?) 인 것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다. 어머니의 애인인 아저씨는 계획적이며 지속적으로 어머니한테 접근해서 지능적으로 어머니를 "응응응" 한 것이다.
그 사실은 어린아이가 알고 있다.
"달래 먹구.." 즉 달래서 맴엠맴 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가 아이들에게 부모로서의 모범을 왜 보여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알 수 있다.
즉, 아이들은 속일 수 없으며 그 아이는 그런 사실을 동네방네 알린다. (수십년 이상 알린 것 같다.)
그 아이의 노래를 듣고 아무 생각없이 음악책에 그 노래를 삽입한 그 당시의 국정 교과서 담당자를 찾아내서 정확한 사유를 들어봐야 한다.
※당시 국민학교 담임선생님의 풍금에 맞추어 코흘리개인 나도 열심히 불렀고 그 후에도 자주 불러보곤 하다 까마득히 잊고 있었는데 이글을 받고 읽어보니 새삼스럽게 추억이 떠오르고 과연 담임선생님도 이 사실을 알고 가르쳤을까?
제법 궁금해집니다.
'웃고 가는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재미난 댓글들이 많아 올려봅니다~~~ (0) | 2018.01.12 |
---|---|
[스크랩] 따라서 그려봐요 (0) | 2017.06.23 |
[스크랩] 보기 민망한 꽃과 식물들 (0) | 2016.10.28 |
[스크랩] 재미난 사자성어(四字成?) (0) | 2016.10.28 |
[스크랩] 웃기는 몰카모음 (0) | 2016.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