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글과 역사 **역사학자가 아닌 사람이 쓴 글이라 시대적 착오가 있을 수있다는것을 이해해 주시고 읽어주세요. 공감하는 부분이 있다면 정리해서 역사로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 한글의 자 모음은 24자입니다. 한글이 되기 전에 이름은 훈민정음이고, 28자..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7.04.17
[스크랩] 소정방은 황해를 건널수가 없었다...!! 소정방이 백제를 멸하러 '황해' 건넜나? 당나라의 전함은 황해 황단이 불가능하다 성훈 컬럼리스트 ㅣ 기사입력 2011/05/12 [14:33] 고대중국의 수도가 서부산악지대인 이유 아래 필자의 글을 확실히 이해하려면 대략적인 중국 고대국가의 상황을 먼저 알아야 한다. 고대 중국의 수도는 주로 ..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9
[스크랩] 대륙 백제의 영토 알려주는 `흑치상지` 대륙 백제의 영토 알려주는 '흑치상지' 흑치상지는 백제 서부인으로 그의 고향은 중국의 최남부이다 [출처] 역사복원신문 2011-05-12 14:45 성훈 컬럼니스트 <일제에 의해 조작된 백제의 왕도 부여> 3부는 장문이라 아래와 같이 나뉘어 연재됩니다. (3부) 대륙 백제의 영토 알려주는 '흑치..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9
[스크랩] 대륙백제에 부연하여 이글은 아래에 포스팅된 임승국교수의 '한반도백제와 중원대륙백제 (1) : 조국 백제의 재인식을 향하여'라는 논문에 부연하여 Mimesis님의 댓글에 단 response이지만 드래그의 편의를 위하여 본문으로 재 포스팅합니다. -대륙백제에 부연하여-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모화주의내지는 사대주의..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9
연지 곤지 연지 곤지 앳 띤 아가씨나 새색시를 연상케하는 연지 곤지라는 이 말은 우리 말 중에 아주 정감있는 말 중의 하나일 것이다. 연지(臙脂)는 볼과 입술에 붉게 칠하는 전래의 화장품이다. 입술에 바르는 것을 요즘은 립스틱 또는 루즈로 구분되지만 옛날에는 볼과 입술에 함께 사용하였..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5
춘추필법을 아는가? 春秋筆法 춘추는 공자가 쓴 魯나라의 역사이다. 춘추의 서술방법은 중국의 사서편찬의 기준이 되었는바 소위 춘추필법이다. ‘역사를 정확히 기록한다’는 뜻으로 유학자들이 금과옥조로 떠받들고 있는 이것은 실은 중국이 천하의 중심이라는 中華主義에 입각한 필법(史觀)으로서 그 ..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4
시집살이, 처가살이 시집살이, 처가살이 ‘벙어리 삼년, 귀먹어리 삼년, 눈 감고 삼년, 석삼년 살고 보니 배꽃 같은 요내 얼굴, 호박꽃 다 되었네~ ’ 옛 여인네들이 힘든 시집살이를 표현한 노래다. 반면에 ‘보리 서말만 있어도 처가살이 하지 않는다.’라는 말로서 남자들은 자존심 상하는 굴욕적인 처가살..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23
선조들의 가발 ‘加髢’ 선조들의 가발 ‘加髢’ 요즘은 가발하면 대머리 남자가 연상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가발은 여성들의 사치품이었다. 사치품이란 당연히 돈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던 까닭에 가발은 해외 귀부인(?)을 위해 70년대 경제개발시대의 주요 수출품의 하나였다. 그 덕분에 가발공장은 ..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17
정림사 5층 석탑에 새겨진 백제의 위용 정림사 5층 석탑에 새겨진 백제의 위용 부여에 있는 定林寺址 5층석탑은 백제의 멸망과정 등 명예스럽지 못한 내용이 기록되어있지만 그 내용 중에 백제의 국력을 나타내는 글귀가 있다. 『 凡置五都督府 戶二十四萬 口六百二十萬 』‘5도독부를 두었으며, 24만호에 인구가 620만 이다.’ 5..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6.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