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생유택과 생명사랑
생명의 소중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래서 생명에는 귀천이 있을 수 없다.
살아 움직이는 동물이나 움직이지 않는 식물이나 모두가 생명체임은 틀림없다. 하지만 다른 種과의 생명이 부딪힌다면 어떻게 될까?
내가 속하지 아니한 종의 생명도 귀하게 여길 수 있을까? 모든 생명체는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취하기 마련이다. 곧 자연의 법칙인 먹이사슬이다.
먹이사슬은 ‘생명의 소중함’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모순의 체계이다. 하나님인지 부처님인지 또는 상제님이지는 알 수 없으나 창조주가 생명체를 만들었을 때 먹이사슬을 염두에 두고 생명을 창조했다면 좀은 불합리한 것 같다. 그저 공기만 먹으며 다른 먹이는 안 먹어도 살 수 있게 하거나 먹는 즐거움(식도락)이라도 없이 창조했다면 먹이사슬은 존재할 필요가 없을 진데, 창조주의 실수인가?
아마도 창조주께서는 각각의 생명체를 창조한 게 아니라 생명의 탄생조건만 만들어 주고 그 조건에 맞는 생명체들이 스스로 탄생하도록 하였기에 무수한 생명체들은 자신들의 생존과 보존을 위해 생존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먹이사슬이 만들어진 것 아닐까?
때문에 초식동물인 소가 풀을 먹는 것을 두고 누구도 생명을 앗아간다고 하지 않는다. 사자가 사슴을 잡아먹을 때 사슴의 입장에서 본다면 억울할지 모르나 사자에게는 당연한 행위이다.
마찬가지로 잡식동물인 인간이 동물을 잡아먹고 식물을 채집하여 먹는 것은 자연의 순리이고 법칙인 것이다.
그러기에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생명에서 어느 것이 더 소중한 것이냐는 질문은 어리석은 질문이다. 생명이라는 그 자체로서는 똑같이 소중하겠지만 인간의 입장에는 인간의 생명이 더 소중할 수밖에 없다.
어떤 동물이 생명의 위기에 처했을 때 그 동물을 구해주는 것은 생명의 소중함 차원에서 좋은 일임에 틀림없으나 그 동물을 구하기 위해 우리 인간의 생명을 담보한다면 이는 인간의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생명은 한없이 소중하며 귀천이나 등급을 매길 수 없으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 생명이 속한 집단에 한정되며 다른 집단과 비교할 때면 어쩔 수 없이 등급이 있고 귀천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인간들은 인간이 아닌 다른 생명체에 등급이나 가격을 매겨 그 등급이나 가격을 인간과 비교하며 때로는 인간보다 더한 가치를 매기고 있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
그러면 인간의 관점에서 ‘생명의 소중함’은 그 경계를 어디서 찾아야 할 것인가? 만물의 영장격인 인간은 다른 생명과 달리 이성을 가졌기에(이 역시 인간의 편견일 수 있다. 다른 생명체에도 그 나름의 이성이 있을 수 있다.) ‘殺生有擇’이라는 좋은 말을 만들어 내었다. 즉 가려서 죽이라는 말이다.
다른 생명을 죽일 수 있는 자기방편적인 말이긴 하나 최소한의 생명존중의 의지를 나타내는 말이라 생각한다.
내(인간) 생명과 생존에 직결되지 않는 한 나의 편익이나 즐거움을 위해 다른 생명을 함부로 앗아가는 행위를 않는 것이 진정한 ‘殺生有擇’이자 ‘생명의 소중함’ 또는 ‘생명의 존귀함’을 받들고 지키는 것이다. 끝
'살며 생각하며~(생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대야 단상 (0) | 2018.08.13 |
---|---|
우리집 괘종시계 (0) | 2017.10.14 |
운명,숙명, 그리고 평등 (0) | 2017.09.17 |
인간의 편견 (0) | 2017.09.17 |
'커피문화' '차문화' (0) | 2017.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