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시계, 해시계는 세종때? 물시계, 해시계는 세종때? 우리는 흔히 해시계와 물시계는 세종대왕 때 발명된 것으로 말하고 있다. 세종 때 그것들이 발명되었다면 그 전에는 어떻게 시간을 측정했을까? 사실 해시계, 물시계는 이미 삼국시대에 있었다. 삼국사기에 신라 성덕왕 17년(718년) 물시계를 만들고 瘺刻典을..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일본의 구석기 유물 조작사건 일본의 구석기 유물 조작사건 우리나라에 구석기 시대가 있었을까? 1964년 공주 석장리에서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우리나라에는 구석기시대가 아예 없었던 것으로 생각했다. 석장리 유물로 우리나라의 구석기시대의 실존여부가 논란이 되다가 1978년 경기도 연천 전곡..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고려시대 로켓, 走火 고려시대 로켓, 走火 1380년 진포(오늘날 군산)에 왜구 5만명(배 1척당 100명 승선 기준)이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저장하는 조창을 공격하기 위해 500척의 배를 이끌고 침입하였다. 이에 맞선 고려군은 100척의 배에 1만명의 이었으나 왜구의 배 500척을 모두 불태우고 왜구를 섬멸하였다. 고려..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궁녀는 전문직 국가공무원 궁녀는 전문직 국가공무원 사극에서 상전의 심부름이나 하는 정도의 존재로만 그려지는 궁녀는 실상은 고도의 전문직 공무원이었다. 이른바 宮女制에 의해 조직적으로 운영되는 전문직 집단인 것이다. 궁녀제가 삼국시대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기록이 없고 조선시대 궁녀제는 고..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鮑石亭? 砲石祠? 鮑石亭? 砲石祠? 鮑石亭은 왕들의 놀이터로, 나아가서는 신라 멸망의 상징으로 천년의 역사가 막을 내린 비운의 현장으로 회자되며 기록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 55대 경애왕은 이곳에서 연회를 즐기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은 것으로 되어있다. 왕이 비참한 최후를 맞은 것은 사실이..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하이테크 진수 팔만대정경 하이테크 진수 팔만대장경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불경을 집대성한 것으로 분량이 방대하다는 정도는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대장경의 제작과정을 분석해보면 경이로울 정도의 첨단기술과 우리 민족의 역량과 지혜가 함축된 위대한 유산임을 알 수 있다...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삼국통일의 교두보 삼년산성 삼국통일의 교두보 삼년산성 충북 보은군 어암리 한 복판 해발 325m의 오정산 정상에 삼년산성(사적 235호)이 있다. 신라 자비마립간 13년(470년)때 3년에 걸쳐 축성하였다해서 삼년성이란 이름이 붙은 산성이다. 길이 1680m, 높이 13~20m, 폭 8m(말 두필이 교차할 정도이다)의 규모의 이 산성은 신..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고인돌 왕국 한반도 고인돌 왕국 한반도 3000여 년 전의 무덤양식으로 알려진 고인돌. 이 땅의 선조들은 3만5천여기의 고인돌을 남겨놓았다. 그런데 이 숫자는 전 세계의 고인돌 수의 40%에 이른다. 놀랍지 아니 한가? 지구의 땅덩어리 중 한 반도는 한 점에 불과한 넓이에서 이처럼 많은 고인돌이 집중되어있는..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고려는 황제국이었다. 고려는 황제국이었다. 요즘 KBS의 사극 ‘대왕의 꿈’에 선덕여왕이나 의자왕에 대해 폐하라는 존칭은 잘못된 것이 아닌가라고 묻는 경우가 있다. 폐하라는 존칭은 황제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에게도 폐하라는 존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선 영국의 여왕..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난방 ‘온돌’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난방 ‘온돌’ 아마 30대이하의 세대에서는 ‘온돌’ 또는 ‘구둘’이라는 용어가 생소할 것이다. 설사 알고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이미 사라진 유물쯤으로 생각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들은 2000년이상을 이어온 우리 민족의 고유한 난방방식이며 아직도.. 되 새겨 보는 우리역사, 우리문화 2015.03.25